Greenhouse Gas (온실가스)21 온실가스 감축 목표 설정하기 온실가스감축 목표 기업단위 감축목표 설정 방법과 데이터 활용을 알어보고자 한다. 감축목표 설정 방법은 과거 실적 기반의 감축목표 설정을 위해 결정해야 하거나 준비해야 할 항목들이 있는데, 정리하여 5가지 단계를 설명한다. 첫째, 기준연도이다. 과거 특정 기간 또는 특정 연도로서 감축(계획)활동 수행 이전 기간을 정해야 한다. 둘째, 예측 배출량으로 미래의 특정 기간 또는 특정 연도로서 감축계획을 배제한 상태의 배출량으로, 조직의 미래 전략이 반영된 기존 시설의 예측 배출량과 온실 가스 배출시설의 신설 또는 증설에 의한 에상량을 구분하고 합산한다. 셋째, 과거 배출량인데 이는 기준연도를 포함하는 일정 기간의 과거 배출량으로서 과거 배출량을 근거한 값으로 예측 배출량을 산정한다. 넷째, 감축 잠재량이다. 조.. 2018. 7. 17. 온실가스 감축 이해하기 기후변화와 온실가스 감축목표 2013년 이후 Post-2012체제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기후변화 대응 강화를 위해 온실가스 규제의 국제적 틀을 마련코자 노력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감축목표 및 범위를 두고 선진국과 개도국 사이의 지속적인 대립양상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신정부는 강력한 온실가스 감축정책 추진 의지를 보이고 있으며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 기준 강화를 위해 제도 정비 및 국제표준 제도와 연계를 추진해 오고 있다. 교토의정서에 근거하여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부여받은 선진국들은 경쟁적으로 기후변화 대책법을 제정 도는 강화하고 있다. 유럽의회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최대 80% 감축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2009년까지 유럽지역의 .. 2018. 7. 16. 지구온난화 막기! 가능하니? 과학자들의 미래시나리오 "기후변화 추세는 앞으로 1000년 동안 중단되거나 역전되지 않으며, 북아프리카는 육지의 건조현상이 30%나 심해져 사막화를 겪게 될 것이고, 남극대륙 주변 바다는 수온이 최고 5도씨나 올라 광대한 남극대륙 서부지역 빙상이 붕괴하게 될 것"이다는 연구 결과는 전 포스팅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네이처 지오사이언스」 영국의 저명한 과학저널에 실렸다. "최악의 경우 2100년즈음에는 지구의 평균온도가 대략 6.4도씨 오르고, 해수면은 59cm 상승한다. 또한, 가장 낙관적인 시나리오조차도 기온이 1.8도씨 오를 것"이라는 예측은 2007년 발표된 IPCC의 시나리오다. IPCC의 기후변화 보고서는 전세계의 환경을 위해 노력하는 과학자들에 의해 작성된다. 위와 같은 시나리오는 온실가스 배.. 2018. 7. 2.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 당신은, 기후변화에 대한 절망적인 시나리오, 믿을 것인가? 「Nature Geoscience(네이처 지오사이언스)」 - 저명한 영국의 과학저널 - 2011년 1월호에 발표된 기후변화 관련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후변화 추세는 앞으로 최소 1000년 동안 지속될 것이며, 서기 3000년께는 남극대륙 서부 빙상이 완전히 붕괴해 지구 해수면이 최소 4m 상승할 전망이다." 캐나다 빅토리아대학교와 캘거리대학교 연구팀은 예측한 기후모델 시뮬레이션을 통해 '인류가 화석연료 사용을 중단하고 더 이상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으면 어떤 일이 일어날지, 현재 진행 중인 기후변화 추세가 역전되는데 얼마나 시간이 걸릴지'등 다양한 시나리오를 만들어 적용했다. 그로 인해 심한 사막화와 빙상붕괴 등이 전망되었다고 한다. 혹자는.. 2018. 7. 2.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