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reenhouse Gas (온실가스)21

기후변화 대응 기후변화에 대한 개념은 인간의 활동에 의해 야기된 이상적인 기후변화로서 극단적인 기후현상의 빈도와 강도에 미치는 단기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장기간에 걸친 온도 상승, 강우량의 변화, 강우 패턴의 변화, 해수면 상승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상 현상의 변화에 의해 나타나는 모든 분야의 영향에 대하여 다루어진다. 기후 변화는 기후시스템을 구성하는 대기, 해양, 생물, 빙하, 육지 등에 다양한 경로로 작용하는 자연 생태계와 인간의 사회, 경제 시스템에 커다란 영향을 준다. IPCC의 관측된 평가에 의하면 지구상의 기후변화는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20세기 동안 증가된 북반구의 평균기온은 크게 상승하고, 해수면 상승 및 해수온도의 증가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IPCC에서는 기후변화를 기후 특성의.. 2018. 7. 23.
온실가스 감축 수단 온실가스 감축 수단 분류온실가스 감축은 온실가스 배출원을 파악하고 배출원의 활동도를 제어함으로써 배출량이 감축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감축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온실가스 배출원 및 배출원의 활동도를 파악해야 한다. 온실가스 인벤토리는 온실가스 배출과 관련된 배출활동 및 배출계수에 따라 배출량이 산정되기 때문에 감축수단의 대상은 배출활동 및 배출계수 모두 해당되며 정량적 배출활동도의 저감 노력과 배출계수가 낮은 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온실가스 감축은 이루어질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활동에 따른 감축 수단은 에너지와 비에너지 측면으로 구분할 수있다. 에너지 측면의 경우, 불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하는 방법과 에너지 사용설비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바업, 온실가스 배출계수가 작은 에너지원(저탄소에너지)으로 전환하.. 2018. 7. 20.
온실가스 감축 방법론 및 사업 베이스라인 방법론 마무리 오늘은 베이스라인 방법론의 나머지 부분 3가지와 모니터링 계획 수립에 대해서 공부하려고 한다. 누출(leakage)이란 사업 경계 밖에서 발생되면서도 온실가스 감축 사업 활동에 영향을 끼칠만하면 측정 가능한 인위적 온실가스 배출의 순 변화량을 뜻한다. 부정적인 누출(감축량을 감소시키는 요인)과 긍정적 누출(감축량을 증가시키는 요인)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방법론에는 사업 수행 시 발생할 수 있는 누출원을 규명해야 하며, 누출량 산정 방법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온실가스 감축 사업에 의한 배출 감축량을 계산하는 방법은 크게 세가지 접근법으로 나눠 볼 수 있다. 첫 번재 방법은 베이스라인 배출량(BE)에서 사업배출량(PE)과 누출량(LE)을 제외하여 감축량을 구하는 방법이.. 2018. 7. 19.
온실가스 감축사업 베이스라인 베이스라인 설정 온실가스 감축프로젝트를 게획 할 때, 최우선으로 고려할 것은 사업의 경계를 설정하는 것이다. 사업경계설정은 해당 감축사업의 활동으로 인해 실질적인 감축효과를 정량화하는 대상이 되기 때문에 향후 감축량 검증을 위한 모니터링 대상이 되며, 감축효과에 대한 투자 범위 및 관리범위를 의마하기도 한다. 사업 경게는 감축사업이 이루어지는 범위를 구분지어 기술하는데 일반적으로 그림이나 모식도를 사용하여 설명해야하며 사업 참여자의 통제하에 있으면서 사업활동에 분명한 영향을 미치는 인위적 온실가스 배출원을 규명하고 배출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온실가슨 눔엇인지를 나타내는데, 이때 베이스라인 시나리오와 사업활동을 구분하여 나타낸다. 사업 경계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정의된 감축활동에 따라 연관된 전후공정의 온실가스.. 2018.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