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reenhouse Gas (온실가스)

기후변화 적응

by 엔조잉 2018. 7. 24.

 

 

기후변화 적응, 연구자들의 정의

 기후변화 적응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자들이 다양하게 정의를 내리고 있다. 기후 변화협약의 정책결정에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는 IPCC WG2(2014)는 적응과 관련하여 '실제 도는 예상되는 기후와 기후 효과에 대해 적합한 행동이나 태도를 취하는 과정으로 인간계에서 적응은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완화하거나 회피하는 것 도는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이용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 외에도 IPCC는 그간의 보고서를 통해 적응의 개념을 다루고 있는데, 적응이란 기후변화에 의한 위험을 인지해 부정적 영향을 감소하고, 이를 관리하여 긍정적 기회를 찾는 활동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적응활동은 홍수에 대비하여 제방을 설치하거나 시상재해로부터 사전에 미리 예방하는 방법 등은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피해를 줄이는 방법이고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새로운 작물을 개발하거나 새롭게 재배하는 방법들은 기후변화의 긍정적 기회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이 외에도 적응과 관련하여 '현재 나타나고 있거나 미래에 나타날 것으로 보이는 기후변화의 파급효과와 영향에 대해 자연, 인위적 시스템이 조절을 통해 피해를 완화시키거나, 더 나아가 유익한 기회로 촉진시키는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적응은 취약성을 줄이는 조절 과정과 관찰된 또는 예상되는 기후변화, 극한 기상현상에 대한 대응능력을 높이기 위한 연속적인 진화과정으로 정의하고 있다. IPCC 4차 보고서에서는 적응이란 기후변화에 적응하고 잠재적 손실을 경감시키며 기회를 활용하고 결과에 대처 할 수 있는 체계의 역량이라고 하였다. IPCC 5차 보고서에서는 적응을 실제 또는 앞으로 예상되는 기후 및 기후의 영향에 대응하여 적합한 행동이나 태도를 취하는 과정으로 인간계는 피해를 완화 또는 회피하거나 주어진 기회를 이용하여 긍정적 결과를 꾀함으로써 기후 변화에 적응 할 수 있다고 하였다. 기후변화 적응의 정의는 연구자별로 조금씩 다른 개념을 제시하고 있는데 공통적으로는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을 최소화하고, 기회요인을 최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기후변화 적응의 정의들을 잘펴보자. 국가 기후 변화 적응 종합 계획, 2008에서는 실제 혹은 에측되는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을 최소화하고 기회를 최대화하는 기후변화 대응방안이다. 한화진 외, 2005에서는 현재 나타나고 있거나 미래에 나타날 것으로 보이는 기후변화의 파급효과와 영향에 대해 자연적 인위적 시스템이 조절을 통해 피해를 완화시키거나, 더 나아가 유익한 기회로 촉진시키는 활동이라고 정의 하고 있다. 조광우 외, 2004에서는 기후변화의 잠재적 영향을 완화 또는 상쇄하거나 기후변화 관련 기회를 이용하기 위한 과정, 실행, 구조의 변화라고 정의했다. 권원태, 2005 연구자는 예상되는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자연 및 인간 사회의 적응을 말하며, 긍정적인 영향을 극대화하고 부정적인 조건이 발생할 때 그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정의했다. IPCC, 2001은 기후 변화 도는 그 영향으로 발생하거나 예상되는 현상에 대하여 그 피해를 줄이고, 기회를 극대화하기 위한 자연계 또는 인간 시스템의 조징이라고 하였고, UNFCCC Secretatiat에서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예견되는 붕괴, 손상으로 부터 국가나 지역을 보고하히 위한 실질적인 수단으로 예를 들어, 홍수 방벽의 건설 도는 범람지나 저지대 지역의 거주민들을 외부로 이주하도록 권고하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UKCIP, 2003은 기후변동과 기후변화에 의한 피해 또는 피해 위험을 줄이고, 이익을 현실화시키기 위한 과정 또는 그 과정의 산출물이라고 하였다. 이 외에도 기후변화 적응을 정의한 연구자들이 많지만 Eu Green Report, 2007에서의 정의를 보면 기후변화(강우량 증가, 온도 상승, 수자원 부족, 폭풍 빈도 증가 등 현재 또는 미래에 발생 될 것으로 예측되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반응으로써, 적응의 목적은 현재 또는 미래의 발생할 부정적인 영향에 의한 위험요인이나 손실을 비용 효율적으로 줄이며, 잠재적 이익을 개발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Fankhauser와 Smit은 적응이란 예상되는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자연 및 인간 사회의 적응을 말하며, 긍정적인 영향을 극대화하고 부정적인 조건이 발생할 때 그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예상되는 적응을 이해하는 것은 영향과 취약성 평가에 중요하고 기후변화의 비용이나 위험성을 평가하는데 기본이 된다. 또한, Smit (1999)는 적응은 감축과 함게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중요 전략으로서, 온실가스 배출이 줄어들더라도 지구 기온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이고, 이에 따른 기후변화도 발생할 것이기 대문에, 이러한 위험을 다루기 위해서는 계획된 적응 전략 개발이 요구된다고 하였다. 환경부 (2009)에서는 적응이란 실제 혹은 예측되는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을 최소화하고 기회를 최대화하는 기후변화 대응방안이라고 정의하였다. 신인철 등(2005)은 적응이란 이미 기정사실화 된 기후변화 및 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과정으로, 온실가스 감축과 관련된 완화와 더불어 기후변화 문제에 있어 중요한 대응방안이라고 하였다. 고재경 등 (2008)은 적응은 기후변화의 파급효과와 영향을 미리 파악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새로운 기회로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Greenhouse Gas (온실가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후변화 영향 및 대책 전망  (0) 2018.07.26
기후변화 영향  (0) 2018.07.25
기후변화 대응  (0) 2018.07.23
온실가스 감축 수단  (0) 2018.07.20
온실가스 감축 방법론 및 사업  (0) 2018.07.19